정보

2025년 1월 21일 주요 단독·속보 뉴스 종합 : 트럼프 취임, 이재명 은행장,

미셀러니의시선 2025. 1. 21. 09:37
반응형

[정치]

 

1. 트럼프, 제47대 美 대통령으로 공식 취임… 파리 기후변화협정 등 일련의 행정명령 서명

제목

트럼프, 두 번째 임기 시작 “미국 황금시대 지금부터”

본문 요약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재취임 선서를 하고 제47대 대통령으로 공식 임기를 시작함.

첫날부터 “파리 기후변화협정 재탈퇴”와 “그린 뉴딜 종료” 행정명령 서명.

남부 국경 문제·에너지 정책 등 강경한 ‘미국 우선주의(MAGA)’ 기조 재천명, “미국 쇠퇴는 끝났다” 강조.

기사 :

“트럼프, ‘파리 기후변화협정 탈퇴’ 서명” (매일경제, 디지털타임스, 이데일리, 아시아경제, 아주경제, 세계일보 등 다수 매체 보도)

“트럼프, 47대 대통령으로 취임… ‘멕시코만’ 명칭 변경·남부 국경 비상사태 선포 시사”

 

2. 이재명 만나 ‘민생경제’ 논의한 6대 은행장… 여야 압박 속 금융권 동향

제목

6대 은행장들, 민주당 이재명 대표와 간담회… “금융 현안과 경제위기 타개방안 논의”

본문 요약

서울 중구 은행회관서 ‘민생 경제 회복 현장간담회’ 개최.

6대 시중은행(KB·신한·하나·우리·NH농협·IBK기업은행) 대표 참석.

최근 복잡한 정국과 맞물려 야당(민주당) 측에서 금융 대책·소비자 보호·중소기업 지원책 등 의견 수렴.

기사 : 아시아경제 “6대 은행장들, 이재명 만나 어떤 말 주고받았나”

 

 

[사회]

 

1. “홍상수, 외동딸 결혼식에도 불참… 축의금조차 없어”

제목

홍상수, 딸 결혼식·장모상에도 얼굴 안 보여… “원래 그런 사람”

본문 요약

배우 김민희와의 불륜 관계로 가족과 연락 끊었다는 홍상수 영화감독.

최근 외동딸 결혼식에서조차 불참, “축의금도 없었다”는 보도.

기존 가족 문제와의 갈등 재조명, “홍상수 부인·딸과 왕래 거의 없어”

기사 : 헤럴드경제·머니투데이·유튜브 ‘연예 뒤통령’ 등

 

2. 무인점포 늘어도 ‘화재 안전’은 사각지대… 관리·규제 시급

제목

무인점포 급증하는데 화재 안전기준은 ‘사각지대’

본문 요약

키오스크 기반 무인 매장이 늘면서, 다중이용업소 해당 여부 모호.

소방시설 설치 의무화되지 않아 화재 등 안전 취약 우려.

기사 : KBS “무인점포 느는데 화재 안전은 ‘사각지대’”

 

[경제]

 

1. GS칼텍스, 성과급 250% 지급… 2년 연속 감소

제목

GS칼텍스, 기본급 250% 성과급… “연봉 대비 약 12.5% 수준”

본문 요약

정유업계 GS칼텍스, 올해 성과급 기본급 250%로 확정.

전년 대비 실제 연봉 기준 27.5%p 줄어들어 2년 연속 축소 추세.

업계 “국제유가·경영 환경 영향 고려, 회사 내 실적 성과 따라 차등 지급”

기사 : 디지털타임스 “GS칼텍스, 기본급 250% 성과급 2년 연속 감소”

 

2. “C9엔터, 연매출 200억원 돌파” 윤하·이석훈 등에 힘입어

제목

C9엔터테인먼트, 설립 이래 첫 매출 200억↑ 흑자 달성

본문 요약

가수 윤하·이석훈, 그룹 CIX 등 소속사 C9, 2024년 매출액 229억 원 기록.

영업이익 17억 원으로 2년 연속 흑자.

기사 : 파이낸셜뉴스 “윤하·이석훈 소속 C9, 200억 돌파”

 

 

 

[국제]

 

1. 임성재, “텃밭” 토리 파인즈서 명예 회복 도전

제목

임성재, 파머스 인슈어런스 오픈 출격… “컷 탈락 충격 날린다”

본문 요약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대회서 컷 탈락했던 임성재, “토리 파인즈서 재도약”

22일부터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토리 파인즈 코스에서 치러져.

기사 : 국민일보 “임성재, 토리파인즈서 PGA투어 한국인 최다 상금 기록 노린다”

 

2. 파나마운하·멕시코만까지? 트럼프의 ‘거침없는 선언’

제목

트럼프 “파나마운하 운영권 되찾겠다, 멕시코만도 명칭 바꿀 것”

본문 요약

트럼프 2기 정부, ‘거래적 제국주의’ 방침 시사? “군대 동원해서라도 美 권익 회복”

파나마운하·멕시코만 명칭 변경 발언 등 논란 확산.

기사 : 뉴스핌·헤럴드경제 등 “트럼프, 다수 행정명령 서명… 동맹국과 갈등 우려”

 

[문화]

 

1. 홍상수·김민희 근황… “주변 가족 행사 일절 불참”

앞선 사회 파트 동일 소식

(홍상수 감독, 외동딸 결혼식·장모상도 불참. 가족과의 관계 단절 재조명)

 

2. 무비 클래식 ‘러브레터’ 재개봉, MZ세대 의외의 호응

제목

“오겡키데스카… 명장면만 알았던 영화, 직접 보니 인생작”

본문 요약

30주년 맞아 재개봉한 ‘러브레터’가 20대 관객 비중 1위.

“유명 대사만 SNS로 알고 있었는데, 감성충만 명작” 후기 잇따라.

기사 : 스포츠서울 “‘러브레터’ 20대 관객이 40대 이상의 2배, 장기 흥행 예고”

 

맺음말

 

오늘(2025년 1월 21일)은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취임 소식과 함께 국내외 경제·문화 이슈가 다양하게 쏟아졌습니다. 정유업계 GS칼텍스의 성과급 소식부터 연매출 200억을 돌파한 C9엔터테인먼트, 재개봉 ‘러브레터’ 흥행 반전 등 눈에 띄는 뉴스가 많았습니다.

 

특히 정치 부문에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이 전 세계적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파리 기후변화협정 탈퇴, 미국 우선주의 재가동, 남부 국경 문제 등 굵직한 정책과 선언들이 향후 국제 정세에 큰 파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됩니다.

 

반응형